사춘기전 특발성 성장호르몬결핍증 환아에서 성장호르몬자극검사의 유용성 평가

사춘기전 특발성 성장호르몬결핍증 환아에서 성장호르몬자극검사의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the Growth hormone provocation test in prepubertal idiopathic growth hormone deficiency children.

(구연):
Release Date : 2017. 10. 26(목)
Lee. Su Jeong, Moon. Jung Eun, Lee. Mi Seon, Park. Min Ji , Ko, Cheol Woo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Pediatric Endocrinology1
이수정, 문정은, 이미선, 박민지 , 고철우
경북대학교 어린이병원 소아청소년내분비 1

Abstract

Background: 특발성 성장호르몬결핍증(iGHD) 진단에서 Growth hormone(GH) 자극검사시 peak GH치가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iGHD 진단에 있어서 peak GH의 예측도는 제한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GH자극검사에서 얻어진 GH치 전체 (sum of GH)가 가지는 임상적 혹은 진단검사학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Material & Methods: 최근 5년동안 경북대학교어린이병원 소아내분비과에서 iGHD로 확진된 사춘기전 환아 1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중 남아가 108명, 여아가 97명이었다. iGHD 진단은 L-dopa와 insulin 자극검사 (ITT)에서 peak GH 5 ng/mL 인 경우는 ‘complete iGHD’, 5 ≤peak GH 10 ng/mL 인 경우를 ‘partial iGHD’로 분류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GH 자극검사시 ‘sum of GH’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약제에 따른 peak GH치, 진단당시 sIGF-I, 골연령 지연 정도(역연령-골연령, CA-BA) 등과 각종 신체계측자료를 후향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Results: 전체 대상환아에서 GH 자극검사시 peak GH와 sum of GH는 L-dopa와 ITT 모두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다 (r=0.9, p0.000). ITT시 sum of GH는 남아에서 sIGF-I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였다 (p=0.033). 그러나 ITT시 peak GH는 sIGF-I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또한 ITT시 sum of GH는 partial iGHD 남아에서 CA-BA (yr)와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r=-0.28, p=0.031). 그러나 ITT시 peak GH는 CA-BA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지 않았다. 이는 ITT시 sum of GH가 골성숙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Conclusion: iGHD의 진단에서 GH 자극검사시 sum of GH의 부분적인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추가적인 대규모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sum of GH(growth hormone), ,